DATA ROOM
전체 : 656건 (1/23페이지)
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오른쪽)이 지난 달 30일 경운박물관에 발전 기금을 전달하고 박경자 경운박물관 부관장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세예스24문화재단 제공한세예스24문화재단이 지난 달 30일 근세 복식문화 전문박물관인 경운박물관에 발전 기금 5000만원을 전달했다고 2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과 박경자 경운박물관 부관장 등 박물관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이번 기부금 전달식은 패션 및 문화 기업 한세예스24홀딩스가 설립한 한세예스24문화재단이 우리나라 복식문화를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경운박물관의 설립 취지와 뜻을 함께 하기 위해 기획됐다.서울경기여자고등학교 교내에 위치한 경운박물관은 2003년 개관했다. 우리나라 근세 복식문화를 전문으로 전시하고 있는 박물관으로 경기여자고등학교 동문회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현재 조선 왕실 복식 등 약 7000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전문 도슨트와 전문위원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전통 복식을 공부하는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은 "전통 복식 문화를 통해 세계 문화교류에 힘을 쓰고 있는 경운박물관과 아시아문화를 한국에 알리는데 힘쓰고 있는 한세예스24문화재단이 뜻이 맞아 이번기부를 결정했다"며 "경운박물관이 우리 전통 복식문화의 아름다움을 계속 널리 알려주길 바란다"고 기부의 의의를 밝혔다. 한편 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한세예스24홀딩스의 사회공헌 재단으로, 김동녕 회장이 2014년 사재를 출연해 설립했다. 외국인 유학생 장학사업을 비롯해 대학생 해외봉사단, 국제문화교류전, 국내 최초 프로젝트인 아시아문학번역사업, 의당 학술상 등 사업을 펼치고 있다.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2001020812218087
2020.01.03한세예스24문화재단(이사장 조영수)이 국내 유학중인 11개국 출신 외국인 유학생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이날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중국 △타지키스탄 △미얀마 △베트남 △말레이시아 △몽골 등 11개국 출신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장학금 수여식을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수여식에는 기존 장학생 3명을 포함하여 서류전형과 2번의 면접전형을 통해 신규 선발된 10명의 학생까지 총 13명이 참석해 장학금을 받았다.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지난 2005년부터 한국과 각국의 가교 역할을 할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한국에서 유학중인 대학원생에게 매학기 장학금을 전달하고 있다. 2019년 3월 1학기 장학금 수여식을 진행한 데 이어 2학기 수여식으로 올해 두번의 행사를 성료했다. 지금까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중남미 등 26개 국가 97명의 학생들이 장학금 혜택을 받았다.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각국과 경제적 교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매년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며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할 미래의 리더들이 졸업 후 한국과 각 국가간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프라임경제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482518
2019.11.08한세예스24문화재단(이사장 조영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인사아트센터에서 국제문화교류전 '필리핀 미술, 그 다양성과 역동성' 전시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이 날 행사에는 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을 비롯해 홍석인 외교부 공공문화외교국장, 노에 알바노 웡(NOE A.WONG) 주한 필리핀 대사 등 주요인사 200여명이 참석했다.국제문화교류전은 외교부가 후원하는 한세예스24문화재단의 대표 행사다. 지난 2015년부터 매년 아시아 국가 미술을 한국에 소개하고 있다. 올해 전시회는 오는 9일까지 진행된다. 풍경(landscape), 유전(heredity), 풍자(satire), 욕망(desire), 치유(healing) 섹션 별로 회화, 조각, 미디어 아트, 설치작품 등 필리핀 현대미술 대표작가 11명의 작품 33점을 선보인다.조 이사장은 “필리핀은 우리나라와 처음으로 수교를 맺은 아세안 국가”라면서 “필리핀인의 삶과 문화에 관한 이해 폭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전자신문 http://www.etnews.com/20190905000150
2019.10.14It may be a short exhibition, but the upcoming art exhibition put on by the Hansae Yes24 Foundation is a must-visit for art lovers who would like to learn about the essence of contemporary art from the Philippines.“The Hybridity and Dynamism of the Contemporary Art of the Philippines” will be held from Sept. 4 to Sept. 9 at the Insa Art Center in Insa-dong, central Seoul, featuring 33 paintings and installations by 11 artists that are making their mark in the Filipino art world. The exhibition is the foundation’s fifth, and it is a part of their ongoing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e project.“Philippine art is unfamiliar to the Korean art world because it has never been properly introduced here,” said curator Choi Eun-ju. “The Philippines experienced western colonization much earlier than we did, and their people live in cities all around the world. They went through political turmoil, like the civil revolution, which is the reason why their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s embedded with anti-colonialism and every other idea of the modern world.”Diversity and dynamism, as suggested through the title of the exhibition, are the two core elements that make up Filipino art and also the core values that penetrate the exhibition’s works, according to curator Choi. “It’s a mixture of all ideas, but you can still see what it means to be ‘Filipino’ in the works,” she said.Such dynamism is readily visible through the paintings of the 10 artists - Zean Cabangis, Lui Medina, Victor Balanon, Kitty Kaburo, Alvin Gregorio, England Hidalgo, John Frank Sabado, Patricia Perez Eustaquio, Chati Coronel and Norberto Roldan - especially in their use of bright colors and ideas in their works. For instance, Gregorio’s “Lionization” (2008), is made with warm and bright colors added with images of famous children’s cartoon characters to talk about multiculturalism and cultural monopolization, while Kaburo’s paintings express her confusion through the strong hues, like in the piece “Chemical Eden” (2018).“Being Filipino comes from being mixed,” explained Choi.>이미지뷰Alvin Gregorio’s “Lionization” (2008). [HANSAE YES24 FOUNDATION]For the exhibition, artist Ged Merino traveled to Seoul and held a public workshop on Saturday, where participants got to wrap their books or shoes and talked about the memories embedded within the objects. The wrapped results will be on display at the exhibition as Merino’s works.“It’s hard to understand the Philippines at a single glance,” said Cho Young-soo, the chairperson of the board at Hansae Yes24 Foundation.“But we hope that this exhibition becomes an opportunity for the people to come closer to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the Philippines. It will be a chance for the people to compare the cultural and artistic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two countries, and consequently, become closer to each other.”koreajoongangdaily 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67440
2019.10.14Art exhibition "The Hybridity and Dynamism of the Contemporary Art of the Philippines" commemorates the 7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Philippines and the Republic of Korea. The Philippines is the first Asian country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The Philippine archipelago comprises over 7,000 islands with rich indigenous cultures and the country went through Spanish colonization from the 16th-19th century and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the 20th century, resulting in an adoption of modern art along with a resistance to Imperialism.The six-day exhibit is part of a series of art exhibitions shedding light on ASEAN countries organized by the Hansae Yes24 Foundation. Founded by Hansae Yes24 Holdings CEO Kim Dong-nyung, the foundation has introduced over 60 artists through exhibitions centering on Vietnam, Thailand and Myanmar since 2014.Kyonggi University honorary professor and the foundation's chairwoman Cho Young-soo said the mother company, Hansae Fashion Worldwide, has a strong base in Southeast Asia and the exhibition is an effort to return to those countries."We considered several ways to return the kindness to those countries and concluded that culture is the best way to present it. We started with art exhibitions and expanded to literature translation this year," Cho said at a press conference Wednesday."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hilippines and its cultural diversity all at once. I hope this exhibit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life and culture of our close friends in the Philippines and how their diversity is reflected in contemporary art."Alvin Gregorio's "Lionization" (2008) / Courtesy of Hansae Yes24 FoundationThe 11 participating artists acknowledge the tradition of Filipino art while reflecting contemporary trends covering five themes ― landscape, heredity, satire, desire and healing.The exhibit is curated by Choi Eun-ju, now director of the Daegu Art Museum. Choi visited the Philippines several times and said that Filipino contemporary art has developed beyond expectations."Filipino art shows how the country is highly receptive to varied cultures from the East and the West and marine and continental culture. This exhibit is going to open a new chapter for Korean art connoisseurs who are partial to Chinese and Japanese art in Asia," Choi said.Ged Merino visited Seoul last weekend to host his signature wrapping workshop with Korean participants. Merino breathes new life and meaning into old objects such as books and shoes by covering them in recycled fabric and string. The encased objects connote a new rela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person who wrapped it.Zean Cabangis' landscape paintings feature porch-like structures in tropical rainforests, a major ecoregion of the Philippines, while Lui Medina's works show overlapped mountainous scenery from multiple perspectives."Victor Balanon's paintings show the expertise in oil painting in the Philippines. Oil paint was introduced to the Philippines in the 16th century by the Spanish to create religious paintings such as Madonna and Child. It is much earlier than Korea which first adopted Western oil pain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Filipinos developed the technique fast," Choi explained.Kitty Kaburo's "The Endless Stream" (2019) / Courtesy of Hansae Yes24 FoundationKorean-Filipino artist Kitty Kaburo shows a knack for using bright tropical colors, while Alvin Gregorio's works make satirical comments on modern life in the Philippines with images borrowed from animations.England Hidalgo's works such as "Not So Quiet on the Western Front" are influenced by grotesque prints of Francisco Goya, but include the history and scars of the Philippines. Norberto Roldan's works are also very indigenous as the artist puts Filipino objects such as floral wallpaper, bouquets, and drink bottles in small frames.John Frank Sabado's works expose the Filipino identity in the most direct way in decorative patterns, while Patricia Perez Eustaquio's tapestry works were selected for this exhibit in relation to the mother company's fashion business.The exhibit runs from Sept. 4 to 9 at the Insa Art Center in central Seoul.John Frank Sabado's "Images of the Past I" (2014 / Courtesy of Hansae Yes24 FoundationThe Korea Times http://www.koreatimes.co.kr/www/nation/2019/09/145_274919.html
2019.10.14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오는 31일 중구 남학당에서 필리핀 현대미술 작가가 참여하는 예술 작업 체험 이벤트를 연다고 16일 밝혔다.필리핀 현대미술 작가 제드 메리노와 책을 '소재'로 활용해 예술작품을 직접 만드는 이벤트다.재단이 지난 2015년부터 진행하는 국제문화교류전의 올해 개막을 기념해 마련한 행사다.국제문화교류전은 아시아 국가 미술을 국내에 소개하는 것으로 올해 행사인 필리핀 미술전은 오는 9월 서울 인사아트센터에서 열린다.재단은 예술 작업 체험 이벤트 참석자들에게 3만원 상당의 YES상품권과 한세예스24문화재단 에코백을 증정한다.이벤트에 참여하려면 오는 27일까지 예스 24 홈페이지에 참석 인원수와 참가 이유를 댓글로 남기면 된다. 재단은 추첨 과정을 통해 참여자 50명을 선정한다.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은 "필리핀 현대 미술가와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특별한 이벤트"라고 소개했다.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3696751
2020.09.11한세예스24문화재단 10기 대학생 해외봉사단이 베트남 호치민에서 봉사 및 문화교류 활동을 마무리 했다고 8일 밝혔다.이번 10기 대학생 봉사단은 지난 7월 23일부터 8월 2일까지 10박11일 간 베트남 호치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학교, 외국어정보대학교 한국어 전공 대학생들과 함께 한세실업VN법인이 위치한 호치민 구찌 지역의 장애인 학교와 고등학교에 방문했다.대학생 봉사단원들은 장애인 학교에서 5세부터 18세까지 다양한 연령의 장애 아동들과 색종이 접기, 촉감 놀이, 사탕목걸이 만들기 등 눈높이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낙서로 더러워진 외벽에 직접 디자인한 벽화를 그리는 활동도 했다.고등학교에선 봉사단원들이 약 한 달여 간 연습한 K-POP 댄스, 태권도 등 공연을 선보였다. 고등학생들과 함께 윷놀이, 투호, 제기차기, 단체 줄넘기, 우드아트, 실팔찌 만들기 등 한국 문화 경험 프로그램도 진행됐다.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은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대학생 봉사단원들이 한국과 베트남 양국을 잇는 문화 외교관 역할을 톡톡히 했다"면서 "앞으로도 대학생 해외봉사단이 청년 리더를 양성하는 대외활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재단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한편 대학생 해외봉사단은 한세실업이 2010년 시작해 2015년부터 한세예스24문화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매년4~5월 서류전형, 면접을 통해 대학생 20여명을 선발한다. 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한세예스24홀딩스의 사회공헌 재단으로, 김동녕 회장이 2014년 사재를 출연해 설립했다.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908080824028696
2019.10.14한세예스24문화재단이 지난달 29일 이화여자대학교, 예일대학교와 국제 학술대회 개최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1일 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이화여자대학교, 예일대학교와 MOU를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에서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을 비롯해 이화인문과학원 전혜영 원장, 이찬웅 교수, 이정 교수, 미술사학과 김연미 교수 등이 참석했다.업무협약의 주요 골자는 한세예스24문화재단이 10월에 열리는 이화여자대학과 미국 예일대학의 동북아 학술대회부터 매년 1만 달러를 후원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학술대회에 동남아시아 세션을 추가한다는 내용이다.2015년부터 이화여대와 예일대는 매년 동북아시아의 문화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해 왔다.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동남아시아 문화를 다루는 세션까지 더해져 학술대회가 더욱 풍성해질 예정이다.전혜영 이화인문과학원 원장은 "최근 K-POP과 드라마를 접하고 한국어와 한국학에 관심을 갖는 외국 유학생들이 부쩍 늘고 있다”며 “이화-예일 학술대회를 통해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폭을 넓히고 각 국이 교류와 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이화여대와 예일대의 학술대회는 매년 10월에 개최된다. 이화여대와 예일대 본교에서 번갈아 개최한다. 올 10월에는 미국 코네티컷 주 뉴헤이븐에 위치한 예일대 본교에서 열릴 예정이다.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은 “그 동안 학술대회에서 연구된 주제가 동북아 3국과 관련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면 앞으로는 학문적 시각을 넓혀 동남아시아 각국의 문화와 역사를 조명할 수 있는 행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이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view/1751163
2019.10.14김철우 강동성심병원 피부과 교수가 최근 더케이 호텔에서 열린 ‘대한의사협회 정기대의원 총회’에서 의당학술상을 수상했다. 의당학술상은 1994년 고 김기홍 박사의 뜻을 기리기 위해 대한의사협회와 그의 유족이 제정한 상이다.전국 기초의학 전공학자 및 임상병리학 전공학자 중 최고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 의학자 1명에게 시상하는 권위 있는 상인 것.김철우 교수는 ‘옴 진단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진단 할 수 있는 PCR 검사법의 효과’ 라는 논문으로 이번 학술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눈으로는 잘 안보여 발견하기 어려웠던 옴을 진단하기 위해 이 연구를 수행해 온 김 교수는 이번 논문으로 유전자 검사법으로 옴을 진단 할 수 있다는 것을 국내 최초로 밝혔다. 김 교수는 “향후 유전자 증폭이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한 Real-Time PCR검사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4330
2020.09.15HCM City (VNA) – The Hansae Yes24 Foundation and the Hansae Vietnam Co Ltd, presented 10,000 books to primary school students in Ho Chi Minh City at a ceremony on April 18.This is the third time the foundation has presented books to children in the southern metropolis.The books will be divided among more than 100 primary schools in the city.Head of the primary education division under the city’s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Nguyen Quang Vinh said the gift of books has contributed to building and promoting the habit of reading among students.The book presenting programme began in 2017, with 30,000 books donated so far. The organising board plans to expand the programme to other localities.The Hansae Yes24 Foundation was endowed in 2014 by Kim Dong Nyung, Chairman of the Board of Hansae Yes24 Holdings Corporation. The foundation aims to help extend the economic cooperation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s established with foreign countries to the spheres of culture and human ties.-VNAVietnam News Agency https://en.vietnamplus.vn/rok-fund-presents-books-to-children-in-ho-chi-minh-city/151234.vnp
2020.07.22한세예스24문화재단이 국내에 유학 중인 6개국 출신 외국인 유학생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러시아, 몽골, 영국, 우즈베키스탄, 일본, 중국 출신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장학금 수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수여식에는 서류전형과 면접, 학업성적, 한국문화 이해도, 대외활동 등 세심한 검증을 거쳐 선정된 6명의 학생이 참석했다.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지난 2005년부터 한국과 각국의 가교 역할을 할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한국에서 유학중인 대학원생에게 매 학기 장학금을 전달하고 있다. 지금까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중남미 등 총 26개 국가, 총 87명의 학생들이 장학금 혜택을 받았다. 지급한 장학금 액수만 총 5억여 원에 달한다.조영수 한세예스24문화재단 이사장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 애정을 느끼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한국을 알리는 민간홍보대사로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 미래의 리더들이 한국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애정으로 한국문화에 잘 적응하고 졸업 후 한국과 각 국가간의 교류 활동에 첨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지난 2014년 김동녕 한세예스24홀딩스 회장이 사재를 들여 세운 순수 문화재단이다. 외국인 장학생 제도를 비롯해 매년 대학생 해외봉사단을 베트남에 파견해 문화교류 및 교육봉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국제문화교류전, 아세안 문학번역 사업, 의당 장학금, 의당 학술상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메트로신문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9032500017
2019.10.01>예스24가 초중고교생의 독서 활성화 및 도서 기부 문화 장려를 위해 진행한 '책 보내기 캠페인'의 첫번째 시즌을 마무리 했다고 20일 밝혔다. > >>>책 보내기 캠페인은 예스24와 한세예스24문화재단이 지난 2017년부터 8회에 걸쳐 진행해 온 도서 기부 활동이다. 예스24는 매 회마다 회원들의 응원 수에 따라 캠페인 대상 학교를 선정해 100여개의 학교에 50권씩 약 5000권의 책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책과 도서 구매 기금을 기부해왔다.>>>3개월 단위로 진행된 책 보내기 캠페인 시즌 1은 전국 초중고교 452곳에 총 2만8994권의 도서를 전달하며 성황리에 종료됐다. 캠페인 대상 학교는 서울시(141곳), 경기도(76곳), 경상남도(64곳), 전라도(53곳), 경상북도(49곳), 충청도(47곳), 강원도(17곳), 제주도(5곳) 등 전국 각지에서 선정됐다.>>>예스24 관계자는 "자라나는 아이들의 독서 활성화 및 사회 전반에 도서 기부 문화 확산을 위해, 더 발전된 형태의 캠페인 시즌2를 준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32002109931033006&ref=naver
2019.10.01한세예스24 문화재단이 지원하는 의당장학회는 지난 25일 음봉면 행정복지센터(면장 최광락)를 찾아 지역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의당장학회는 고(故) 김기홍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부인 고(故) 이윤재 여사가 지난 1988년 설립해 매년 아산 음봉면 출신 고교생 3명과 대학교 입학생 학생 1명에게 32년째 장학금을 수여하고 있다.김동국(한양대 명예교수)의당장학회 운영위원장은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있다”며 학생들을 격려했다.한편, 의당 김기홍 박사는 1921년 함경북도 명천에서 출생한 국내 임상병리학 선각자로 1969년 한국헌혈협회(현 대한혈액관리협회)를 발족해 체계적인 헌혈이 이뤄지도록 하는 등 의학계에서 큰 발자취를 남겼다.금강일보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07053#0BJz
2019.10.01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지난 16일 국내에 유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고 19일 밝혔다.서울 콘래드서울 제스트에서 진행된 이번 장학금 수여식에서는 총 10개국 10명의 학생이 장학금을 받았다. 이들은 서류전형과 면접, 학업성적, 한국문화 이해도, 대외활동 등 다양한 평가를 거쳐 선정됐다.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지난 2005년부터 한국과 각국의 가교 역할을 할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한국에서 유학중인 대학원생에게 매 학기 장학금을 전달하고 있다. 현재까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중남미 등 총 26개 국가 87명의 학생들이 장학금 혜택을 받았다. 총 액수는 5억여원에 달한다.한세예스24문화재단 관계자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 애정을 느끼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한국을 알리는 민간홍보대사로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각국의 차세대 리더들이 한국에 잘 적응하고 졸업 후 글로벌 인재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한세예스24문화재단은 지난 2014년 김동녕 한세예스24홀딩스 회장이 사재를 들여 세운 문화재단이다. 외국인 장학생 제도를 비롯해 협력국가와의 우호관계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매년 대학생 해외봉사단을 베트남에 파견, 문화교류 및 교육봉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또 해외 문화를 한국에 알리고 국제 문화교류를 확산하기 위한 미술전과 학술포럼 개최, 아시아 도서문학 번역 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며 주목 받고 있다.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811191616215724
2019.10.01미얀마란 나라의 이름을 듣고 가장 먼저 머리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는 그다지 밝지 않다. 군사독재, 아웅산 수치, 로힝야 탄압 등이 먼저 생각난다. 미얀마는 한국이 그랬던 것처럼 오랜 식민지배를 거쳐 독립했고, 이후에는 군사독재에 시달렸다. 2011년 개혁개방 정책이 실시된 이후에도 정국은 여전히 불안하다. 버마족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130여개 소수민족과의 갈등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과도 같다.이런 상황에서 미얀마의 화가들은 어떤 그림을 그렸을까. 다음달 12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아트센터에서 열리는 ‘미소의 땅 미얀마, 관계의 미학을 키우다’전에서 그 한토막을 볼 수 있다. 미얀마의 현대회화 작가 8명의 작품 50여점이 한국으로 온다.이번 전시는 한세예스24문화재단이 2015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국제문화교류전의 일환이다. 재단은 2015년에는 베트남, 2016년 인도네시아, 지난해 태국의 현대미술 작가들을 한국에 소개했다.일반 전시에 앞서 재단이 언론에 공개한 그림들은 생각보다 밝고 따뜻하다. 그림만 봐서는 미얀마의 가슴 아픈 과거나 복잡한 현대사를 알아보기 힘들다. 대부분 인물과 풍경이 중심이고, ‘평화와 자비로움’이 담겨있다. 심지어 전시의 제목에는 ‘미소의 땅’이란 표현도 들어간다.재단이 대표작가라고 소개한 민웨웅은 스님들의 행렬 뒷 모습을 주로 그렸다. 이번 전시 기획을 맡은 심상용 동덕여대 큐레이터학과 교수는 “질서정연하지만 어떤 강제나 강요도 하지 않는 부드러운 행렬”이라며 “등을 진 채 걸어가는 것은 관객을 그 행렬의 일원으로 초대하는 미적 전략”이라고 설명했다.모뇨는 아예 사람을 하나도 등장시키지 않고 풍경만을 수채화로 그렸다. 주로 불교 사원이 중심에 있는 모뇨의 그림을 보면 ‘아름답다’는 말 외에는 다른 어떤 생각도 잘 나지 않는다. 심 교수는 “나무, 하늘, 집, 길이 꼭 필요한 만큼만 존재하는 세상을 수채화 기법으로 최적의 상태로 희석해 그려 명상적인 풍경화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틴윈은 주로 소수민족들의 ‘얼굴’을 그렸다. 미얀마의 전통미술, 그 중에서도 벽화에 기초한 사실주의를 추구했다고 한다. 이렇게 그린 소수민족 사람들 얼굴에도 주름살은 깊지만 미소가 깃들어 있다. 녹록치 않은 삶의 흔적 속에서도 부처님의 얼굴을 하고 있다.그나마 산민의 그림에서는 미얀마의 실제 모습이 조금 드러난다. 산민은 군사독재 치하에 있던 1975년 사회적, 정치적 이슈를 다룬 전시회를 기획하다가 3년간 감옥에 갇혔다. 이후에도 한동안 작품을 그리지 못하다 간신히 다시 붓을 잡을 수 있게 됐다. 이번 전시에 나오는 ‘악마들’이나 ‘문화파괴자’ ‘그들은 감옥에 산다’ 등은 ‘무력한 현대인’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자세히보면 미얀마의 불안한 정치 상황이 읽히기도 한다.미얀마 화가들이 정치·사회 상황을 반영한 그림을 아예 그리지 않는 것은 아니다. 1990년대부터는 지속적으로 ‘저항작가’들이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한다. 또 여전히 ‘검열’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2012년 이후부터는 조금씩 ‘표현의 자유’가 진전되고 있다고도 한다.심 교수는 “이번 전시의 취지는 처음으로 미얀마의 예술을 소개하는데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미얀마를 조망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너무 민감한 작품들은 기획단계에서 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간 미얀마 사회가 어둡고 힘든 측면이 있었고 그것에 반동하는 강한 정서적 기조가 있었다”며 “미얀마 인구의 90% 이상이 소승불교라 삶속에서 부처의 메시지를 실천하려는 모습이 많다”고 덧붙였다.이런 점을 고려하더라도 이번 전시에서 미얀마의 모습을 ‘절반’만 볼 수 있다는 것에는 계속 아쉬움이 남는다. 전시기간 역시 꼭 일주일 뿐이다. 그중 다행으로 입장료는 무료다.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8301031001&code=960202
2019.10.01